본문 바로가기
오늘의 이슈💥

[충격] 특전사, 비상계엄 당시 국회 투입 증언 "대북 작전인 줄 알았다"

by 앟닿닿 2024. 12. 6.
반응형

 

 

2024년 12월, 대한민국을 뒤흔든 비상계엄 사태! 계엄군의 국회 진입 시도는 국민들에게 큰 충격을 안겨주었죠. 특히 최정예 특수부대인 특전사 대원들이 대북 작전으로 알고 출동했다는 증언이 공개되면서 논란은 더욱 거세졌습니다. 군 지휘부의 정보 통제와 군의 정치적 중립성 훼손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는 가운데, 사건의 진상과 그들의 심경을 자세히 들여다보겠습니다. (비상계엄, 특전사, 국회, 대북 작전, 군 지휘부)

긴급 출동! 그러나 목적지는 국회였다?!

2024년 12월 3일, 비상계엄이 선포되면서 707 특수임무단, 1·3 공수여단 등 최정예 부대에 긴급 출동 명령이 떨어졌습니다. 대원들은 북한 관련 특수 작전, 심지어는 '참수 작전'까지 염두에 두고 만반의 준비를 했습니다. 긴장감과 사명감으로 가득 찬 그들! 그런데… 헬기에 오르기 직전, 예상치 못한 행선지를 듣게 됩니다. 바로 '국회'였습니다!! 대북 작전을 예상했던 대원들은 순간 혼란에 빠졌고, "국회의원을 다 끌어내라"는 명령에 이르러서는 참담함과 공황 상태에 빠졌다고 합니다.

정보 통제 속, 군인들의 혼란과 자괴감

707 특수임무단원 A씨는 "대북 작전인 줄 알고 모든 준비를 마쳤는데, 갑자기 국회로 향하게 되어 너무 당황스러웠다"라고 증언했습니다. 작전 투입 전 목표물이 있는 건물 구조 등 지형 분석은 필수인데, 국회 구조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채 착륙했다는 점은 그들의 혼란을 더욱 가중시켰습니다. "좀 어이가 없었다"는 A씨의 말에서 최정예 부대원으로서 느꼈을 자괴감과 허탈함이 고스란히 전해져 옵니다. 😥 또 다른 대원 B씨는 실탄이 아닌 훈련용 비살상탄(UTM)을 휴대했다고 밝혔습니다. 살상력은 없지만 맞으면 아픈 훈련탄을 들고 비무장 민간인을 상대해야 했던 그들의 심정은 얼마나 복잡했을까요? "우리가 비무장 민간인을 상대하려고 이렇게 고생했느냐", "군인을 그만두고 싶다"는 주변 대원들의 반응은 이번 사태가 그들에게 얼마나 큰 충격을 주었는지 보여줍니다.

비무장 민간인을 향한 총구, 군인들의 윤리적 갈등

1공수여단 대원들 역시 혼란스럽기는 마찬가지였습니다. C씨는 긴급 작전 투입 지시를 받았지만, 행선지는 전혀 알지 못한 채 버스에 올랐다고 합니다. 도착한 곳은 국회 정문 앞. "계엄 반대"를 외치는 시민들을 마주한 그들은 또 한 번 당황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심지어 일부 시민들은 총부리를 잡거나 총기를 빼앗으려고 시도하기까지 했다니… 정말 아찔한 순간이었을 겁니다. D씨는 이 상황을 "상부에 배신감이 들었다"라고 표현했습니다. 특전사는 작전 지역을 철저히 분석하지 않으면 투입되지 않는데, 국회 구조도 모르는 상태로 투입된 것에 대해 큰 불안감을 느꼈다고 합니다. 실제 전쟁 상황이었다면 모두 죽었을 거라는 극단적인 생각까지 했다니… 그들의 심리적 압박감이 얼마나 컸을지 짐작조차 어렵습니다.

"국가에 배신감이 든다"… 군인들의 절규

특전사 대원들은 하나같이 "국가에 배신감이 든다"는 심정을 토로했습니다. 정치적인 판단으로 인해 소모품처럼 이용당했다는 생각에 분노와 좌절감을 느꼈을 것입니다. 이번 사태는 군인들의 충성심과 사명감에 깊은 상처를 남겼습니다. 대북 작전이라는 명분 아래 움직였던 그들은 비무장 민간인을 상대로 작전을 수행해야 하는 윤리적 딜레마 에 직면했습니다. "무장하지도 않은 민간인을 상대로 707이 이사카(산탄총)까지 들고 쳐들어가는 건 너무 과하다"는 대원들의 증언은 군의 정치적 도구화에 대한 심각한 문제를 제기합니다.

비상계엄, 그 이후: 남겨진 질문들

이번 비상계엄 사태는 우리 사회에 많은 질문을 던집니다. 과연 국가는 군인들을 어떻게 대해야 할까요? 군인들의 충성심과 사명감을 정치적인 목적으로 이용해도 되는 걸까요? 군의 정치적 중립성은 어떻게 지켜져야 할까요? 그리고, 정보 통제와 불투명한 의사결정 과정은 과연 정당화될 수 있을까요?

진정한 국가 안보와 군의 역할에 대한 고찰

우리는 이번 사태를 통해 진정한 국가 안보와 군인들의 역할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 봐야 합니다. 군은 국가를 보위하고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숭고한 임무를 수행합니다. 그들의 희생과 헌신이 정치적인 목적으로 이용되어서는 안 됩니다. 투명하고 민주적인 의사결정 과정을 통해 군의 정치적 중립성을 보장하고, 군인들의 사기와 자긍심을 고취해야 합니다. 또한, 국민과의 소통을 강화하여 불필요한 오해와 불안감을 해소하고, 군에 대한 신뢰를 회복해야 할 것입니다. 이번 사태가 우리 사회에 뼈아픈 교훈으로 남아, 더욱 성숙한 민주주의와 국가 안보 체계를 구축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랍니다. 🙏

 

반응형

댓글